본문 바로가기
AI 서비스 구축 스터디/기획

[AI 서비스]기획 아이디어 & 개요

by 열정주니어 2023. 4. 4.
반응형

기획 아이디어 구상

기존에 조사한 모델 포함, 다양한 모델을 활용하여 어떤 AI 서비스를 만들지 기획한다.

 

우선 스터디를 진행하는 인원 중 개발자가 없고, AI 모델을 이용하여 간단한 웹 서비스 구축을 경험해 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 간단한 웹 서비스 위주로 고민을 하게 되었다.

 

한 두페이지의 간단한 웹서비스가 뭐가 있을까 생각을 해보았을 때,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사람들 사이에서 링크로 공유되어 돌아다니며 흥미를 유발하는 간단한 테스트 웹서비스가 있었다. 여기에 AI 모델을 어떻게 적용하면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가볍게 사용해볼 수 있는 웹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하였다.

 

여기서 핵심적인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사람들이 쉽게 사용해볼 수 있어야한다.

-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

- 사용한 사람들이 결과를 공유하여 새로운 사용자를 끌어들여야 한다.

- AI 모델을 적합하게 활용해야 한다.

위의 요소들을 통해 사용자를 가능한 많이 모으고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 하는 수익 구조를 구상하였다.

 

핵심적인 요소들을 고려하며 생각해본 결과, 그림일기 생성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그림일기는 대부분 어렸을 때 한번쯤은 그려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텍스트만 입력하면 어린 아이가 그린것 같은 그림일기를 생성해준다면 사람들이 쉽게 사용해볼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성된 그림일기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며 자연스럽게 새로운 사용자의 유입을 유발할 것이다.

 

AI 모델은 기존에 조사한 네이버 클로바 AI 서비스와 text-to-image 모델(Dalle2,  stable diffusion 등)을 이용한다.

AI 모델 프로세스 구상은 다음과 같다.

1. 텍스트를 입력받는다.

2. clova summary api를 이용하여 핵심 문장을 분류한다.

3. 분류한 핵심 문장으로 text-to-image 모델을 이용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4. 생성한 image를 어린 아이가 그린듯한 그림으로 변환한다. (추가 모델 조사 필요)

5. 생성한 그림과 입력받은 텍스트를 이용하여 그림일기를 생성한다.

6. clova sentiment api를 이용하여 문장의 긍 부정을 분류한 후, 그림일기에 감정을 포함시켜 그림 일기를 완성한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여 기획 개요를 작성한다.

 

기획 개요

 

반응형

'AI 서비스 구축 스터디 >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서비스]화면 정의서  (0) 2023.04.17
[AI 서비스]플로우 차트  (0) 2023.04.17
[AI 서비스]요구 사항 정의서  (0)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