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개발자의 개발 지식 스터디/IT 회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툴6

노코드(자동화) 툴 노코드 툴 말그대로 코드를 치지 않고도 프로그램 제작을 도와주는 툴 실제로 IT회사에서 개발자 인력이 부족한 경우 노코드 툴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관리하는데 사용 또는 IT사업을 시작하는데 개발자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 빠르게 프로그램을 만들어 MVP 사업 검증하는데 사용 웹 제작 툴 html, css, javascript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웹 개발을 도우는 툴로 대표적으로 unbounce, webflow, wix 등이 있음 거의 코드를 치지 않고 드래그 앤 드랍으로 색깔을 넣고 배치시킴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 복잡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개발자의 손이 필요하지만 간단한 랜딩페이지, 상품페이지 등의 정형적인 웹제품을 만들때는 빠르게 개발 가능 unbounce는 랜딩페이지 webflow.. 2023. 7. 27.
사내 협업 툴 제품팀 협업 툴 개발자 협업 툴 개발자들은 Github, Bitbucket 많이 사용 디자인 협업 툴 디자이너가 Zeplin, Figma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하면 너비, 폰트, 칼라 등을 프론트개발자가 쉽게 확인하고 코드로 옮길 수 있음 프로젝트 관리 툴 개발자, 제품 디자이너, 기획자, PM, PO 등이 한팀으로 제품을 개발할 때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툴 Jira가 대표적 한 프로젝트에 대해서 개선할 점, 버그 수정 이슈 등을 전부 적을 수 있음 해당 업무를 실무자에게 배정할 수 있음 jira를 통해 다른 팀원이 어떤 업무를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 깃헙 등과 같은 외부 툴들과 연동이 가능함 커뮤니케이션 툴 개인 대 개인으로 채팅, 그룹 채팅 등 업무에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툴 대표적으로 슬랙.. 2023. 7. 27.
랜딩페이지 제작 툴 랜딩페이지 제작 툴 IT 회사가 수익을 내기 위해선 고객들을 본 서비스로 유입시켜야 하는데 이 때 랜딩페이지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고객들을 모을 수 있음 랜딩 페이지를 통해 고객들에게 회원가입 페이지나 상품 결제 페이지로 유도할 수 있음 랜딩 페이지에는 보통 회사의 제품을 맛깔나게 소개할 수도 있고, 특정 상품을 홍보하는 페이지로 만들 수도 있음 이 때 중요한 점은 랜딩페이지의 제작 의도에 맞게 고객들이 반응하는 지를 테스트할 수 있어야 함 랜딩페이지는 복잡한 기능이 들어가지 않고 주로 이미지와 카피라이팅 텍스트가 주를 이루므로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랜딩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는 툴들이 많이 있음 대표적인 랜딩페이지 제작 툴은 unbounce와 instapage가 있음 이들은 단순히 랜딩페이지를 제작.. 2023. 7. 27.
A/B 테스트 툴 A/B 테스트 툴 보통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함 여기서 목표는 결제 횟수가 될 수도 있고 회원가입 횟수가 될 수도 있음 목표 수치를 달성하기 위해 보통 회사에선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려고 함 A/B 테스트: 가설을 검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유저에게 같은 페이지에서 다른 경험을 주는 실험을 의미 기존에 잘 동작하는 페이지는 대조군이라고 하며 새롭게 실험해보고 싶은 페이지는 실험군이라고 부름 예를 들어 회사에서 회원가입을 늘리는 걸 목표로 세웠다고 가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여러 아이디어 중 상품페이지에 회원가입 이벤트를 강조하자는 아이디어 채택 그래서 상품페이지의 결제하기 버튼 위에 회원가입 이벤트 배너를 넣기로 결정 이 때 대조군은 아무것도 넣지 않.. 2023. 7. 27.
분석 관리 툴(Google Tag Manager) Google Tag Manager (GTM) Google Tag Manager(GTM): 분석용 툴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형 서비스 Google Analytics, Amplitude, Facebook Pixel 같은 분석 툴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분석을 할 웹 혹은 앱 서비스에 특정 코드를 추가해야 서비스에서 분석 툴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원하는 이벤트(결제하기, 회원가입 등)를 추가하기 위함 여기서 조그만 코드를 스니펫 코드라고 함 유저가 웹,앱 서비스를 이용할 때 만들어진 행동 데이터를 분석 툴에 전송하는 코드를 트래킹 코드라고 함 분석툴이 여러개일 경우 각각의 분석 툴에게 이벤트를 보내주는 코드를 따로 만들어줘야 하는데 여기서 크게 2가지의 문제 발생 새로운 이벤트를 만들 때마.. 2023. 7. 27.
행동 분석 툴 개요 오프라인과 다르게 온라인에선 고객의 방문이 따로 눈에 보이지 않기에 IT 서비스(웹, 앱)에서 유저의 행동을 데이터로 추출하는 과정이 중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상품 페이지에 들어왔는지 그리고 버튼을 얼마나 클릭했는지 등을 수치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면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짐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는 건 수치를 바탕으로 눈에 보이는 목표를 세울 수 있고 값을 비교할 수 있다는 걸 의미 행동 분석 툴 유저가 보통 웹, 앱에서 하는 행동은 '페이지를 들어가거나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이렇게 유저가 행동할 때 심어져있는 코드가 동작하면서 '이 유저는 페이지를 봤다', '이 유저는 스크롤을 50%까지 내렸다', '이 유저는 장바구니를 클릭했다' 를 의미하는 데이터.. 2023.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