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개발자의 개발 지식 스터디/백엔드4

클라우드 서비스(SaaS, PaaS, IaaS) 가상화 기술 클라우드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건 바로 가상화 기술 덕분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자원(CPU, 메모리)을 100% 잘 활용하지 못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됨 -> 가상화 기술의 원천 가상화 기술은 하드웨어 자원(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추상화라는 소프트웨어 기법을 통해 여러 개로 쪼개는 기술 도커,컨테이너는 수많은 가상화 기술 중 최근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기술로 최근 들어 컨테이너를 활용해서 클라우드에 서비스를 배포하는 경우가 많아짐 가상화 기술을 거치면 우리의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이용해서 한 대의 컴퓨터로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이용할 수 .. 2023. 7. 24.
서버 스케일링 & 모니터링 서버 스케일링 많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수록 서버에게 많은 요청이 가게 됨 -> 트래픽이 높아짐 트래픽이 높아질수록 서버는 바빠지므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해당 컴퓨터의 CPU,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고 점점 자원이 남지 않아 결국 응답을 바로 못해주고 밀리게 되는 병목현상이 발생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케일 업과 스케일 아웃, 크게 두가지 방법이 존재 스케일 업: 해당 서버의 컴퓨터 성능을 높이는 것으로 CPU나 메모리의 성능을 높여 더 많은 요청에 대응할 수 있게 함 스케일 아웃: 서버를 여러대로 늘리는 것으로 트래픽을 분산시켜 하나의 서버가 일하는 양을 줄여줌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API 서버가 바빠지고 이와 맞물려있는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도 바빠지게 되므로.. 2023. 7. 14.
클라우드 클라우드란? 백엔드의 구성인 데이터베이스 서버, API 서버, 스토리지 서버 등은 전부 서버이고 하나의 프로그램이므로 전부 컴퓨터 안에서 동작함 과거 웹 서비스 제공을 위해 웹/API/DB 서버 구축 및 네트워크 설정이 필수적이였음 현재 가상화 기술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위의 모든 요소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게됨 기존에 회사에서 관리해야 했던 컴퓨터들을 클라우드 회사에서 직접 관리 사용자들은 본인의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클라우드의 컴퓨터들을 사용 클라우드 특징 1. 사용자가 몇 번의 클릭만으로 온라인을 통해 서버 컴퓨터를 빌릴 수 있음 온라인으로 손쉽게 서버 컴퓨터를 빌리는 것을 서버 호스팅이라고 함 데이터베이스 같은 특정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도 제공 가능 개발자들.. 2023. 7. 14.
백엔드란? 백엔드란? 프론트엔드는 폭넓은 의미로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때 쓰게 되는 웹, 앱 등을 의미 백엔드는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루는 공간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들을 이용한 예 네이버 - 회원가입한 유저들 데이터, 웹툰 데이터들, 카페 데이터들, 블로그 데이터들 등 수많은 데이터 카카오톡 - 유저 데이터, 유저가 들어간 채팅방 데이터, 유저의 친구들 데이터 등 서비스에 필요한 많은 데이터 백엔드는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사용자, 관리자 등)에게 알맞게 데이터를 가공하는 역할 데이터를 가공한다는 것은 원형의 데이터들을 목적에 맞게 가공하는 걸 의미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목적에 맞게 데이터들을 끌어와서 필요없는 건 빼고 필요한 건 살리는 작업 백엔드의 구성 프론트엔드는.. 2023.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