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그랩 강의32

노코드(자동화) 툴 노코드 툴 말그대로 코드를 치지 않고도 프로그램 제작을 도와주는 툴 실제로 IT회사에서 개발자 인력이 부족한 경우 노코드 툴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관리하는데 사용 또는 IT사업을 시작하는데 개발자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 빠르게 프로그램을 만들어 MVP 사업 검증하는데 사용 웹 제작 툴 html, css, javascript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웹 개발을 도우는 툴로 대표적으로 unbounce, webflow, wix 등이 있음 거의 코드를 치지 않고 드래그 앤 드랍으로 색깔을 넣고 배치시킴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 복잡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개발자의 손이 필요하지만 간단한 랜딩페이지, 상품페이지 등의 정형적인 웹제품을 만들때는 빠르게 개발 가능 unbounce는 랜딩페이지 webflow.. 2023. 7. 27.
사내 협업 툴 제품팀 협업 툴 개발자 협업 툴 개발자들은 Github, Bitbucket 많이 사용 디자인 협업 툴 디자이너가 Zeplin, Figma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하면 너비, 폰트, 칼라 등을 프론트개발자가 쉽게 확인하고 코드로 옮길 수 있음 프로젝트 관리 툴 개발자, 제품 디자이너, 기획자, PM, PO 등이 한팀으로 제품을 개발할 때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툴 Jira가 대표적 한 프로젝트에 대해서 개선할 점, 버그 수정 이슈 등을 전부 적을 수 있음 해당 업무를 실무자에게 배정할 수 있음 jira를 통해 다른 팀원이 어떤 업무를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 깃헙 등과 같은 외부 툴들과 연동이 가능함 커뮤니케이션 툴 개인 대 개인으로 채팅, 그룹 채팅 등 업무에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툴 대표적으로 슬랙.. 2023. 7. 27.
랜딩페이지 제작 툴 랜딩페이지 제작 툴 IT 회사가 수익을 내기 위해선 고객들을 본 서비스로 유입시켜야 하는데 이 때 랜딩페이지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고객들을 모을 수 있음 랜딩 페이지를 통해 고객들에게 회원가입 페이지나 상품 결제 페이지로 유도할 수 있음 랜딩 페이지에는 보통 회사의 제품을 맛깔나게 소개할 수도 있고, 특정 상품을 홍보하는 페이지로 만들 수도 있음 이 때 중요한 점은 랜딩페이지의 제작 의도에 맞게 고객들이 반응하는 지를 테스트할 수 있어야 함 랜딩페이지는 복잡한 기능이 들어가지 않고 주로 이미지와 카피라이팅 텍스트가 주를 이루므로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랜딩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는 툴들이 많이 있음 대표적인 랜딩페이지 제작 툴은 unbounce와 instapage가 있음 이들은 단순히 랜딩페이지를 제작.. 2023. 7. 27.
A/B 테스트 툴 A/B 테스트 툴 보통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함 여기서 목표는 결제 횟수가 될 수도 있고 회원가입 횟수가 될 수도 있음 목표 수치를 달성하기 위해 보통 회사에선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려고 함 A/B 테스트: 가설을 검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유저에게 같은 페이지에서 다른 경험을 주는 실험을 의미 기존에 잘 동작하는 페이지는 대조군이라고 하며 새롭게 실험해보고 싶은 페이지는 실험군이라고 부름 예를 들어 회사에서 회원가입을 늘리는 걸 목표로 세웠다고 가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여러 아이디어 중 상품페이지에 회원가입 이벤트를 강조하자는 아이디어 채택 그래서 상품페이지의 결제하기 버튼 위에 회원가입 이벤트 배너를 넣기로 결정 이 때 대조군은 아무것도 넣지 않.. 2023. 7. 27.
행동 분석 툴 개요 오프라인과 다르게 온라인에선 고객의 방문이 따로 눈에 보이지 않기에 IT 서비스(웹, 앱)에서 유저의 행동을 데이터로 추출하는 과정이 중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상품 페이지에 들어왔는지 그리고 버튼을 얼마나 클릭했는지 등을 수치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면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짐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는 건 수치를 바탕으로 눈에 보이는 목표를 세울 수 있고 값을 비교할 수 있다는 걸 의미 행동 분석 툴 유저가 보통 웹, 앱에서 하는 행동은 '페이지를 들어가거나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이렇게 유저가 행동할 때 심어져있는 코드가 동작하면서 '이 유저는 페이지를 봤다', '이 유저는 스크롤을 50%까지 내렸다', '이 유저는 장바구니를 클릭했다' 를 의미하는 데이터.. 2023. 7. 27.
AI 인공지능 & 머신러닝 & 딥러닝 개요 인공지능 인공지능은 사람이 수행하는 지능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 활동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는 일들은 입력되어 있는 로직을 바탕으로 동작하기에 단순한 작업들을 수행하기에는 뛰어난 반면, 더 나아가 사람의 말을 이해하거나 사람 얼굴을 인식하는 등의 작업들은 단순히 개발자가 짠 로직만으로는 성능이 많이 떨어짐 수많은 케이스가 입력되어도 정확도가 높은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선 사람의 뇌와 같이 지능적인 작업을 하는 도구가 필요함 머신러닝 현재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크게 규칙 기반 시스템(Rule-based system)과 머신러닝 2가지로 나뉨 규칙 기반 시스템: Rule(규칙)을 미리 프로그래머가 작성하는 방식 수많은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 2023. 7. 26.
그로스 해킹 그로스 해킹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을 분석하고 회사를 성장시키는 일련의 과정 '기업이 목표하는 것'으로 이끄는 것에 대한 전반을 의미하며 철저히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수반됨 마케팅을 통해 서비스를 알리고 제품의 구매 유도까지 과정 등 관련 툴로는 대표적으로 CRM(고객 관계 관리 솔루션)이 있음 마케팅 vs 그로스 기존 마케팅: 제품을 알리고(Awareness) 제품에 사용자를 유입(제품 입장에서 사용자 획득/Acquisition)하는 것에 한함 그로스 해킹: 기존 마케팅 이후 제품 레벨의 사용자 사용(Activation), 재사용(Retention), 결제(Revenue), 공유(Referral)의 전과정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활용 AARRR 위 모든 지표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게 되며 실제로 .. 2023. 7. 26.
데이터 직군 데이터 엔지니어 엔지니어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역할 수행 추가적으로 시각화를 통해 더 나은 데이터 결과를 제공하는 역할 수행 즉, 데이터 생성 → 수집 → ETL → 시각화 의 과정을 엔지니어가 수행 초기 스타트업은 데이터 수집, 분석에 Google Analytics를 많이 사용 이는 프론트엔드에서 데이터 수집 코드 작성 시 데이터 저장과 시각화까지 전부 손쉽게 가능하기 때문 하지만 기업 입장의 커스터마이징이 힘들기 때문에 결국 엔지니어가 직접 데이터 환경을 구축하게 됨 데이터 파이프라인 데이터 파이프라인: 데이터의 생성 이후 여러 서버를 거쳐 최종 DB에 저장되는 전반적인 과정 따라서 데이터 엔지니어의 업무 ≈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이라 할 수 있음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은 데이터와 관련된 서.. 2023. 7. 26.
데이터의 전체 프로세스 개요 IT 회사에서 데이터는 정말 중요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객들이 방문하는 것과 달리 온라인은 프론트엔드(웹, 앱)등을 통해서 접근하므로 유저의 방문, 행동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채널에서 데이터를 수집해야 함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웹에서는 행동 정보를 수집하고 있음 사이트에서 머무는 시간, 스크롤, 클릭 등의 유저 로그 정보들은 전부 데이터화되어 저장됨 데이터의 전체 프로세스 IT 회사에서 처리하는 데이터 프로세스는 크게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음 데이터 생성 데이터 수집 데이터 가공 후 저장(ETL) 데이터 시각화(BI) 데이터 분석 데이터 생성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가장 먼저 데이터 생성이 필요 데이터 수집은 보통 유저가 사용하는 웹, 앱에서 발생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 상품페.. 2023. 7. 26.
HTTP HTTP통신이란? 컴퓨터끼리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여러가지 방식으로 가능하며 이런 방식들을 묶어서 통신 프로토콜이라고 함 웹 서버와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HTTP 프로토콜, 메일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SMTP 프로토콜,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FTP 프로토콜 등 HTTP 통신: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한 통신 HTTP 프로토콜 -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해 생긴 프로토콜 대부분의 네트워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대중적인 프토로콜 개발한 웹, 서버는 전부 HTTP 프로토콜로 통신하게 됨 HTTP 통신은 기본적으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으로 나눠서 이해할 수 있음 요청과 응답 모두 공통적으로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짐 요청 라인 - URL, Method 같은 핵심 요청.. 2023. 7. 25.
URL URL 구조 이해하기 URL 구성 요소를 보면 순서대로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음 프로토콜 호스트 주소 포트 번호 경로 쿼리 프로토콜 프로토콜: 컴퓨터끼리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의 규격 웹을 이용할 때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 요새는 HTTP에 보안을 더한 HTTPS 프로토콜이 많이 사용됨 (실제로 HTTP 프로토콜의 규격과 동일) 이 외에도 이메일을 통신할 때 사용되는 SMTP, 컴퓨터 원격 통신에 사용되는 SSH 등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 호스트 주소 호스트 주소: 컴퓨터의 주소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도메인 네임 혹은 IP 주소가 들어감 포트 번호 포트 번호: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수많은 프로세스들의 주소 우리가 사용하는 URL을 보면 포트번호가 보이지 않음 기본적으로 포트번호를 입력하지 않았을 .. 2023. 7. 25.
클라우드 서비스(SaaS, PaaS, IaaS) 가상화 기술 클라우드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건 바로 가상화 기술 덕분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자원(CPU, 메모리)을 100% 잘 활용하지 못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됨 -> 가상화 기술의 원천 가상화 기술은 하드웨어 자원(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추상화라는 소프트웨어 기법을 통해 여러 개로 쪼개는 기술 도커,컨테이너는 수많은 가상화 기술 중 최근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기술로 최근 들어 컨테이너를 활용해서 클라우드에 서비스를 배포하는 경우가 많아짐 가상화 기술을 거치면 우리의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이용해서 한 대의 컴퓨터로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이용할 수 .. 2023.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