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개발자의 개발 지식 스터디/IT 회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툴

분석 관리 툴(Google Tag Manager)

by 열정주니어 2023. 7. 27.
반응형

Google Tag Manager (GTM)

  • Google Tag Manager(GTM): 분석용 툴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형 서비스

  • Google Analytics, Amplitude, Facebook Pixel 같은 분석 툴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분석을 할 웹 혹은 앱 서비스에 특정 코드를 추가해야 서비스에서 분석 툴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 원하는 이벤트(결제하기, 회원가입 등)를 추가하기 위함
    • 여기서 조그만 코드를 스니펫 코드라고 함
    • 유저가 웹,앱 서비스를 이용할 때 만들어진 행동 데이터를 분석 툴에 전송하는 코드를 트래킹 코드라고 함
  • 분석툴이 여러개일 경우 각각의 분석 툴에게 이벤트를 보내주는 코드를 따로 만들어줘야 하는데 여기서 크게 2가지의 문제 발생
    • 새로운 이벤트를 만들 때마다 개발자가 직접 코드를 작성해야 함
      • 예를 들어 회사에서 이벤트를 한다면 유저의 행동 데이터를 얻기 위해 '이벤트 상세페이지 전환', '회원가입 버튼 클릭' 등에 이벤트 전송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데 보통 마케터, PO는 개발자에게 이벤트 코드를 작성해달라고 요청함
    • 코드 관리가 복잡해짐
      • 개발자들이 웹, 앱을 개발할 때는 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데 이 때 임시로 쓰이는 트래킹 코드, 테스트하려고 붙이는 분석 툴 코드 등이 남아있다면 나중에 관리해야할 포인트가 늘어나게 됨

  • GTM을 통해 코드를 분산시켜 문제들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음
    • GTM을 이용하기 위한 설정 코드만 작성해두면 Google Analytics, Amplitude 같은 분석 툴을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따로 심을 필요가 없음
      • 분석 툴을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프로젝트에 작성하는 대신 GTM에 코드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
    • 즉 코드를 작성하는 공간을 GTM으로 분리시키므로 GTM에서 코드를 아무리 작성해도 프로젝트 코드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어 개발자는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개발 이외의 직군은 개발자에게 요청하지 않고 GTM에서 직접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음
  • 비개발자를 위한 서비스라고 많이 알려져 있지만, GTM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선 GTM 관련 코드들을 개발자가 계속 관리해야 함

 

트리거

  • 보통 이벤트가 있다면 발생해야 되는 시점이 있음
    • '회원가입 완료' 이벤트를 GA에 보내기 위해선 회원가입 완료 버튼을 클릭해야 이벤트가 전송, 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보내는 이벤트가 있다면 페이지를 접속할 때 이벤트를 전송하는 코드가 실행되어야 함
  • GTM은 트리거 라는 기능을 통해 특정 페이지 진입, 버튼 클릭, 스크롤 등 이벤트가 실행되어야 할 시점을 설정함
    • 기존에는 버튼이 클릭되는 코드 안에 이벤트를 전송하는 코드를 작성
    • GTM 트리거에서는 사용자가 클릭 몇 번이면 이를 가능하게 해줌

 

태그

  • 보통 GTM을 사용하는 건 개발자가 아니므로 GTM에서 코드를 최대한 덜 칠 수 있도록 기능들을 제공함
    • 대표적으로 태그라는 기능을 통해서 이를 제공
    • 태그는 쉽게 이야기하면 수행할 기능(예: GA에 이벤트 전송, Facebook Pixel 초기 설정 등)을 정의하는 곳
  • 태그라는 공간에 이벤트를 전송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도 있고 GTM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 Google Analytics나 Google Ads 같이 Google 라인업 툴들 같은 경우, 코드를 치지 않고도 쉽게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지원해주지 않는 분석 툴, 대표적으로 Amplitude같은 툴은 직접 코드를 작성해야 함
    • 태그에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벤트를 전송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코드를 칠 수 있음
  • 정리하면 설정한 트리거(Trigger)가 동작했을 때 태그가 실행됨
    • 태그에는 GA 실행하기, GA에 이벤트 보내기 같은 기능들이 존재
    • 또한 직접 코드를 쳐서 Amplitude 실행하기, Amplitude에 이벤트 보내기 등을 수행할 수 있음
  • 이 외에도 태그, 트리거를 사용할 때 필요한 중복되는 내용들(예를 들어 웹 페이지 URL, 유입 경로 등)은 변수라는 기능을 통해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음

 

Reference

https://www.inflearn.com/course/it-%EA%B0%9C%EB%B0%9C%EC%A7%80%EC%8B%9D#

 

IT 회사에서 비개발자가 살아남기 위한 모든 개발 지식 A to Z - 인프런 | 강의

본 강의는 멤버십 구독 개념으로 한 번 구매하면 계속 추가되는 수업도 수강할 수 있습니다😃, [사진] 이 강의는!  단순히 개발 용어만을 알려주지 않습니다.IT 회사에서 개발자들이 실제로 하

www.inflearn.com

https://www.grabbing.me/IT-A-to-Z-By-1e1fbc981b7c4c03ac44943085ac8304

 

[IT 개발자와 일할 때 필요한 모든 개발지식] A to Z 자료 모음집 By 그랩

장담하건대 이 내용들만 알고 계시면 IT 개발의 전체적인 흐름은 전부 파악한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www.grabbing.me

 

반응형

'비개발자의 개발 지식 스터디 > IT 회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코드(자동화) 툴  (0) 2023.07.27
사내 협업 툴  (0) 2023.07.27
랜딩페이지 제작 툴  (0) 2023.07.27
A/B 테스트 툴  (0) 2023.07.27
행동 분석 툴  (0) 2023.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