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로그 데이터

  • 컴퓨터의 처리 내용이나 이용 상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한 것
  • 로그 데이터는 IT회사에서 필수로 필요
    •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분석 가능
    •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의 상태 모니터링 가능
  • 로그 데이터는 크게 클라이언트(유저) 로그, 서버 로그로 나눌 수 있음

 

클라이언트 로그

  • 유저 행동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한 것
    • 일반적으로 IT 서비스는 유저의 행동을 분석해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 IT 제품(웹, 앱)을 통해 유저가 어디서 얼마나 머물렀고, 어디에 관심을 가지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수집

  • 위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롤을 하게 되면 특정 서버에 오른쪽 하단과 같은 정보를 전송

  • 보통 클라이언트 로그를 활용하기 위해선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로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데이터를 편하게 볼 수 있는 웹 등이 필요 -> 사이즈가 큼
    • Google Analytics, Facebook Pixel 등의 유저행동을 분석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하면 코드 몇 줄이면 편하게 클라이언트 로그를 쌓는 걸 도와주고 분석하는 환경까지 제공
    •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 더 자세한 분석과 커스터마이징을 필요하므로 데이터 수집 환경을 구축하는 데이터 엔지니어가 필요

 

서버 로그

  • 서버 상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한 것

  • 서버는 수많은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1개의 서버 컴퓨터가 수백, 수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게 됨
    • 서버 컴퓨터의 상태를 잘 파악하는게 중요 -> 모니터링
    •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서버의 기록들이 필요 -> 서버 로그

  • 서버 로그는 요청 시간, IP, 자원 등 복합적인 내용들을 포함
    • 이들을 통해 시간당 컴퓨터 하드웨어(CPU, 메모리)의 상태, 클라이언트의 요청 횟수, 요청 처리속도 등을 복합적으로 파악해서 서버의 상태를 점검

 

Reference

https://www.inflearn.com/course/it-%EA%B0%9C%EB%B0%9C%EC%A7%80%EC%8B%9D#

 

IT 회사에서 비개발자가 살아남기 위한 모든 개발 지식 A to Z - 인프런 | 강의

본 강의는 멤버십 구독 개념으로 한 번 구매하면 계속 추가되는 수업도 수강할 수 있습니다😃, [사진] 이 강의는!  단순히 개발 용어만을 알려주지 않습니다.IT 회사에서 개발자들이 실제로 하

www.inflearn.com

https://www.grabbing.me/IT-A-to-Z-By-1e1fbc981b7c4c03ac44943085ac8304

 

[IT 개발자와 일할 때 필요한 모든 개발지식] A to Z 자료 모음집 By 그랩

장담하건대 이 내용들만 알고 계시면 IT 개발의 전체적인 흐름은 전부 파악한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www.grabbing.me

 

반응형
반응형

프론트엔드

  • 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 프론트엔드는 폭넓은 의미로 웹, 앱 등을 전부 포함 
    • 보통 브라우저를 통해서 웹을 실행

  • 실제로 웹이 브라우저에 보여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음
    • 브라우저가 웹 프로그램을 전달해주는 웹서버에게 요청
    • 웹서버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개발한) 웹을 전달
    • 브라우저에서는 다운받은 웹을 실행

  • 크롬에서 F12를 누르면 개발자도구가 열리며, 브라우저가 웹을 실행시키면서 나오는 정보들(네트워크 통신 기록, 프로그램 로그, HTML 소스 코드 등)을 확인할 수 있음

 

모바일 앱

  •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앱으로 Android와 ios가 대표적
    • 앱은 오직 앱스토어에서만 다운받을 수 있음

  • 앱은 웹과 마찬가지로 화면 구성 및 동작 로직을 구현하고, 서버와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전달받음
  • 하이브리드 앱 / 크로스 플랫폼 앱: 하나의 언어(프레임워크)로 개발해도 aos, ios 앱을 만들 수 있는 방법

 

백엔드

  •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프론트엔드(웹, 앱)과 통신하는 영역
    • 서비스를 하는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
    • 정보 제공 or 데이터를 쌓고 처리하기 위한 모든 서버 포함

  • 찜하기, 결제하기, 유저정보 받기 등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선 API 서버가 필요하며 API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응답을 내려줌

  • 서비스 핵심 데이터(유저, 제품 정보 등), 이미지, 동영상 파일, 사용자 로그 등의 IT서비스에서 대표적인 데이터들을 백엔드에서 전부 관리

 

클라우드

  • 데이터 스토리지, 컴퓨팅 파워(가상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필요시 바로 제공하는 것
    • 기존의 방법에서 서비스를 하기위한 서버 전용 컴퓨터가 필요한 반면, 클라우드는 서버 전용 컴퓨터 필요 x
    • 클라우드는 네트워크 관리를 손쉽게 제공

 

Reference

https://www.inflearn.com/course/it-%EA%B0%9C%EB%B0%9C%EC%A7%80%EC%8B%9D#

 

IT 회사에서 비개발자가 살아남기 위한 모든 개발 지식 A to Z - 인프런 | 강의

본 강의는 멤버십 구독 개념으로 한 번 구매하면 계속 추가되는 수업도 수강할 수 있습니다😃, [사진] 이 강의는!  단순히 개발 용어만을 알려주지 않습니다.IT 회사에서 개발자들이 실제로 하

www.inflearn.com

https://www.grabbing.me/IT-A-to-Z-By-1e1fbc981b7c4c03ac44943085ac8304

 

[IT 개발자와 일할 때 필요한 모든 개발지식] A to Z 자료 모음집 By 그랩

장담하건대 이 내용들만 알고 계시면 IT 개발의 전체적인 흐름은 전부 파악한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www.grabbing.m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