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플로우차트 작성을 완료하였다.

[AI 서비스]플로우 차트

 

[AI 서비스]플로우 차트

이전 포스팅에서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을 완료하였다. [AI 서비스]요구사항 정의서 요구 사항 정의서 이전 포스팅을 통해 기획 아이디어와 개요를 정리하여 작성하였다. 기획 아이디어 & 개요 기

jobdahan-tech.tistory.com

이번에는 이전 작업물(요구사항 정의서, 플로우 차트 등)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화면 정의서를를 작성하도록 한다.

메인 페이지에서 서비스 예시를 보여주며 사용자가 결과를 예상할 수 있게 한다. 입력 페이지에서는 안내문구로 일기를 어디에 입력해야할지 안내하고, 사용자에게 글자 수 제한을 보여주며 스스로 제한에 맞게 작성하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결과 페이지에서 다운로드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아이콘으로 익숙한 위치(오른쪽 상단)에 제공하며, 공유는 보다 쉽게 선택지를 고를 수 있게 제공한다.

 

위와 같이 화면 정의서를 작성하며 서비스의 UI, UX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다음에는 화면 정의서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입히도록 한다.

반응형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을 완료하였다.

[AI 서비스]요구사항 정의서

 

요구 사항 정의서

이전 포스팅을 통해 기획 아이디어와 개요를 정리하여 작성하였다. 기획 아이디어 & 개요 기획 아이디어 & 개요 기획 아이디어 구상 기존에 조사한 모델 포함, 다양한 모델을 활용하여 어떤 AI 서

jobdahan-tech.tistory.com

이번에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플로우 차트를 작성해보도록 한다.

사용자가 서비스에 진입하면 메인페이지에서 시작 버튼을 눌러 일기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로 진입한다. 일기를 입력 후 텍스트 수가 조건에 만족하는지 체크하고 조건이 충족되면 그림일기 생성 버튼을 눌러 결과 페이지로 넘어간다. 결과 페이지에서 결과물을 다운로드할지 공유할지 선택하고 완료되면 서비스를 종료한다.

 

위와 같이 플로우 차트를 작성하며 서비스의 플로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다음에는 마지막으로 화면 정의서를 작성하며 기획 부분을 마무리하도록 한다.

반응형
반응형

이전 포스팅을 통해 기획 아이디어와 개요를 정리하여 작성하였다.

[AI 서비스]기획 아이디어 & 개요

 

기획 아이디어 & 개요

기획 아이디어 구상 기존에 조사한 모델 포함, 다양한 모델을 활용하여 어떤 AI 서비스를 만들지 기획한다. 우선 스터디를 진행하는 인원 중 개발자가 없고, AI 모델을 이용하여 간단한 웹 서비스

jobdahan-tech.tistory.com

이번에는 기획 아이디어와 개요를 바탕으로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하도록 한다.  

 

요구사항 정의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작성하였고, 작성 과정은 다음을 참고한다.

ChatGPT로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하기

 

ChatGPT로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하기

AI서비스 구축 스터디를 하며 구상한 아이디어를 요구사항 정의서로 작성하기 위해 ChatGPT를 활용해보도록 한다. 기획 아이디어 & 개요 기획 아이디어 & 개요 기획 아이디어 구상 기존에 조사한

jobdahan-tech.tistory.com

 

ChatGPT로 작성한 요구사항 정의서 내용을 엑셀에 형식에 맞게 작성하며 추가로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고,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여 작성을 완료하였다.

 

요구사항 정의서가 작성이 완료되면 IA 정보 구조도, 기능정의서 등을 작성하는게 기존의 프로세스이지만 서비스가 매우 간단하므로 다음 포스팅에서는 바로 플로우 차트를 작성해보도록 한다.

반응형
반응형

기획 아이디어 구상

기존에 조사한 모델 포함, 다양한 모델을 활용하여 어떤 AI 서비스를 만들지 기획한다.

 

우선 스터디를 진행하는 인원 중 개발자가 없고, AI 모델을 이용하여 간단한 웹 서비스 구축을 경험해 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 간단한 웹 서비스 위주로 고민을 하게 되었다.

 

한 두페이지의 간단한 웹서비스가 뭐가 있을까 생각을 해보았을 때,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사람들 사이에서 링크로 공유되어 돌아다니며 흥미를 유발하는 간단한 테스트 웹서비스가 있었다. 여기에 AI 모델을 어떻게 적용하면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가볍게 사용해볼 수 있는 웹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하였다.

 

여기서 핵심적인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사람들이 쉽게 사용해볼 수 있어야한다.

-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

- 사용한 사람들이 결과를 공유하여 새로운 사용자를 끌어들여야 한다.

- AI 모델을 적합하게 활용해야 한다.

위의 요소들을 통해 사용자를 가능한 많이 모으고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 하는 수익 구조를 구상하였다.

 

핵심적인 요소들을 고려하며 생각해본 결과, 그림일기 생성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그림일기는 대부분 어렸을 때 한번쯤은 그려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텍스트만 입력하면 어린 아이가 그린것 같은 그림일기를 생성해준다면 사람들이 쉽게 사용해볼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성된 그림일기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며 자연스럽게 새로운 사용자의 유입을 유발할 것이다.

 

AI 모델은 기존에 조사한 네이버 클로바 AI 서비스와 text-to-image 모델(Dalle2,  stable diffusion 등)을 이용한다.

AI 모델 프로세스 구상은 다음과 같다.

1. 텍스트를 입력받는다.

2. clova summary api를 이용하여 핵심 문장을 분류한다.

3. 분류한 핵심 문장으로 text-to-image 모델을 이용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4. 생성한 image를 어린 아이가 그린듯한 그림으로 변환한다. (추가 모델 조사 필요)

5. 생성한 그림과 입력받은 텍스트를 이용하여 그림일기를 생성한다.

6. clova sentiment api를 이용하여 문장의 긍 부정을 분류한 후, 그림일기에 감정을 포함시켜 그림 일기를 완성한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여 기획 개요를 작성한다.

 

기획 개요

 

반응형

'AI 서비스 구축 스터디 >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서비스]화면 정의서  (0) 2023.04.17
[AI 서비스]플로우 차트  (0) 2023.04.17
[AI 서비스]요구 사항 정의서  (0) 2023.04.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