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층형 아키텍처 패턴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Layered Architecture (계층형 아키텍처) 패턴은 소프트웨어를 서로 독립적인 계층으로 나누어 설계하는 구조입니다. 이 글에서는 Layered 아키텍처의 개념, 필요성, 그리고 자바에서의 구현 방법을 예제를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Layered 아키텍처 패턴이란?
Layered 아키텍처 패턴은 애플리케이션을 역할에 따라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이 특정한 책임만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패턴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 네 가지 주요 계층으로 구성됩니다:
-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담당합니다.
-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응답을 표시합니다.
- ex) UserController.java
-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합하여 처리합니다.
- 비즈니스 규칙과 워크플로우를 정의합니다.
- ex) UserService.java
- Domain Layer (도메인 계층):
- 핵심 도메인 로직과 비즈니스 엔터티를 관리합니다.
- 데이터의 상태와 관련된 규칙을 처리합니다.
- ex) User.java
- Data Access Layer (데이터 접근 계층):
-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씁니다.
- 저장소 또는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합니다.
- ex) UserDao.java
Layered 아키텍처의 필요성
- 모듈화:
-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개발 및 유지보수될 수 있습니다.
- 가독성:
- 계층 간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 코드 이해가 쉽습니다.
- 재사용성:
- 특정 계층을 다른 프로젝트에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 용이성:
- 계층별로 개별적인 테스트가 가능하여 품질이 향상됩니다.
- 확장성:
- 새로운 기능 추가 시 기존 계층에 최소한의 영향을 줍니다.
자바에서 Layered 아키텍처 구현 예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Layered 아키텍처로 구현해 보겠습니다.
1.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ublic UserController(UserService userService) {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
public void createUser(String name, String email) {
userService.addUser(name, email);
System.out.println("User created successfully.");
}
public void displayUsers() {
userService.getAllUsers().forEach(user ->
System.out.println("Name: " + user.getName() + ", Email: " + user.getEmail()));
}
}
2.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public void addUser(String name, String email) {
User user = new User(name, email);
userRepository.save(user);
}
public List<User> getAllUsers() {
return userRepository.findAll();
}
}
3. Domain Layer (도메인 계층)
public class User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email;
public User(String name, String email) {
this.name = name;
this.email = email;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email;
}
public void setEmail(String email) {
this.email = email;
}
}
4. Data Access Layer (데이터 접근 계층)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UserRepository {
private final List<User> users = new ArrayList<>();
public void save(User user) {
users.add(user);
}
public List<User> findAll() {
return new ArrayList<>(users);
}
}
5. Main 클래스
public class LayeredArchitecture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new UserRepository();
UserService userService = new 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Controller userController = new UserController(userService);
// 사용자 생성
userController.createUser("Alice", "alice@example.com");
userController.createUser("Bob", "bob@example.com");
// 사용자 목록 표시
userController.displayUsers();
}
}
출력 결과:
User created successfully.
User created successfully.
Name: Alice, Email: alice@example.com
Name: Bob, Email: bob@example.com
Layered 아키텍처의 활용 예시
- 기업 애플리케이션:
- Spring Framework를 활용한 계층형 구조의 웹 애플리케이션.
- 마이크로서비스:
- 서비스 간 역할을 명확히 나누어 각 서비스의 계층을 독립적으로 관리.
- 모바일 백엔드:
-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 비즈니스 로직 처리, API 응답 구성을 분리하여 효율적인 유지보수.
마치며
Layered 아키텍처 패턴은 애플리케이션을 명확하게 구조화하여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자바에서 이를 구현하여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보세요!
반응형
'개발 부트캠프 > 백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SQL Injection (1) | 2025.01.10 |
---|---|
[Java] 서블릿(Servlet) (0) | 2025.01.08 |
[Java] MVC 패턴 (1) | 2025.01.07 |
[Java] SOLID 원칙 (0) | 2025.01.07 |
[Java] JDBC (Java Database Connectivity) (0) | 2025.01.07 |